돈 만드는데도 돈 드는 거, 아시죠. <br /> <br />한번 만들면 오래 쓰는 게 좋을 텐데, 지폐의 수명은 얼마나 될까요? <br /> <br />새로 발행된 지폐가 시중에서 쓰이다가 더는 쓸 수 없게 손상돼 다시 한국은행으로 돌아오기까지 걸리는 시간을, '유통수명'이라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한국은행이 추정한 올해 지폐의 유통수명은 이렇습니다. <br /> <br />천원과 5천 원은 4년 남짓 쓰고, 만 원은 10년 넘게, 그리고 5만 원은 13년 정도 쓴다는 건데, 소액권보다 고액권의 수명이 훨씬 길죠. <br /> <br />구매액이 만 원이 안 될 때 현금을 내는 비중이 76%가 넘는다는 조사 결과도 있는데요. <br /> <br />그만큼 사람 손을 많이 타는 소액권은 수명이 짧고, 반면에 주로 예비용 현금으로 고이 보관되는 고액권은 수명이 길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액면가와 상관없이 지폐의 전반적인 수명은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지난해와 비교하면 천원은 1개월, 5천 원과 만원은 6개월씩 늘었는데, 카드나 모바일 간편 결제가 증가한 영향이 크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지폐의 유통수명 조사결과가 처음으로 공표됐던 지난 2011년과 비교하면 이런 흐름이 더 두드러지는데요. <br /> <br />당시 조사대상이 아니었던 만 원권을 빼고 천원과 5천 원만 보더라도, 몇 년 만에 지폐의 수명이 크게 늘어난 걸 알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현금 없는 사회'로 가면서 지폐를 덜 쓰게 되고, 그렇다 보니, 지폐의 수명은 오히려 길어지는 거죠. <br /> <br />그럼 외국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지폐의 수명은 어떨까요? <br /> <br />발행을 시작한 지 10년 만에 이번에 처음 유통수명 추정 결과가 나온 5만 원권부터 보면, 비교 대상 8개 국가 가운데 5위로 아주 긴 편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다른 나라의 경우 최고액권을 주로 현금 보관용으로 쓰는 데 비해, 우리나라는 경조금이나 용돈 등에서 5만 원권의 활용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게 한국은행의 설명인데요. <br /> <br />중간액권인 만원의 경우, 8개 국가 중에 호주에 이어 2번째로 수명이 길었고, 소액권인 천원은 미국과 호주에 이어 3번째로 수명이 길었습니다. <br /> <br />우수한 지폐 품질과 국민의 올바른 사용 습관도 한몫했다는 게 한국은행의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올해 상반기에만 못 쓰게 된 지폐가 3억4천만 장, 액수로는 2조 원이 넘는 것도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장판 밑에 돈을 보관해서 지폐가 눌리거나 습기에 부패하는 등 잘못된 보관 방법이나 취급 부주의가 주요 원인인데요. <br /> <br />이렇게 못 쓰게 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9112616401125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